전체 글 74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1.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Adverse event)의 정의 - (WHO) 예방접종 후에 발생한 모든 의도하지 않은 증상을 말하며, 반드시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요구하지 않음 -(감염병예방법) 예방접종 후 그 접종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증상 또는 질병으로서 해당 예방접종과 시간적 관련성이 있는 것을 말함 2.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의 분류 * 원인에 따른 분류 - 백신 구성물질 관련 반응 - 백신 결함에 의한 반응 - 예방접종 오류에 의한 반응(백신 준비오류, 접종 대상자 선별 오류, 백신 접종과정 오류) - 예방접종 관련 불안반응 - 우연한 반응 * 발생부위 및 중증도에 따른 분류 - 발생부위(국소 이상반응, 전신 이상반응) - 중대한 이상반응 - 중증도 * 발생규모 및 연관성에 따른 분류 :..

C형 간염

* 약제 : DAA (Direct acting antivirals)는 hepatitis C virus(HCV) 생활사에 직접 작용하여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냄 * 대사성 간경변증 - 합병증이 나타나지 않는 간경병증 * 비대사성 간경변증 - 황달, 복수, 정맥류출혈, 간성뇌증 등 합병증이 나타나는 간경변증 * 작용 부위에 따라 분류 - HCV nonstructural protein(NS) 3/4A 단백분해효소 억제제(protease inhibitor, PI) - HCV 증식에 필수적인 다단백 분해과정 차단 : boceprevir, telaprevir, simeprevir, asunaprevir, paritaprevir, grazoprevir, voxilaprevir, glecaprevir 등 - NS5A ..

B형 간염

* 만성 B형 간염 : 감염 후 6개월 이상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이 존재하는 경우 1. 만성 B형 간염의 자연 경과 1) 면역관용기(immune tolerant phase) - 대부분의 면역관용기는 수직감염과 관련, HBeAg 양성 - 혈청 HBV DNA가 10^7 IU/ml 이상으로 매우 높은 수치를 보이지만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이 거의 없음 - 혈청 ALT 정상, 간조직 염증 없거나 경미한 시기 2) Hepatitis B e antigen (HBeAg) 양성 면역활동기 - 대부분의 면역관용기 HBV 감염자들은 나이가 들면서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 시작. HBeAg 양성 - 혈청 HBV DNA의 감소와 상승이 반복 - 혈청 ..

성인 지역사회획득 폐렴

* 원인 - Streptococc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 Klebsiella pneumoniae, Moraxela catarrhalis, Staphylococcus aureus 등 세균 - Mycoplasma pneumoniae, Chlamydophila pneumoniae, Legionella pneumophila 등 비정형 폐렴 유발 균 - Influenza virus, RSV, rhinovirus, coronavirus, adenovirus, metapneumovirus, parainfluenza virus 등 호흡기 바이러스 폐렴의 진단1. 지역사회획득 폐렴 이환 가능성 있는 성인에서 원인균 진단을 위한 검사 유효성 1) 중등도 or 중증으로 진단되면 ..

성인 급성 상기도 감염

- 인두염(pharyngitis), 편도염(tonsillitis), 후두염(laryngitis), 후두개염(epiglottitis), 비부비동염(rhinosinusitis), 중이염(otitis media), 기관염(tracheitis), 기관지염(bronchitis) 등으로 구분-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한 감기는 경우에 따라 대증요법이 요구되며 항생제 사용은 필요하지 않음(급성 상기도 감염의 일부는 항생제 사용 필요)1. 급성 인두편도염을 시사하는 증상과 징후가 있을 때 항생제 투여 여부 1)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 항생제 치료 권고 2) 변형된 Centor 점수(McIsaac 점수)가 3점 이상, 신속항원 검출검사 양성이면 항생제 치료 권고 3) 대부분 호흡기 바이러스가 원인 - Rhinovirus, ..

피부, 연조직 감염

1. 농가진(impetigo)과 농창(ecthyma) * 농가진 : 표피(epidermis)에 발생하는 세균 감염으로 비수포성 농가진(nonbullous impetigo), 수포성 농가진(bullous impetigo)의 두 가지 양상으로 발현. * 원인균 : - 비수포성 농가진 : Streptococci, S. aureus - 수포성 농가진 : S. aureus - 농창 : Streptococci, S. aureus * 농가진은 경구 항생제 또는 항생제 연고로 치료 가능. 병변 수가 많거나 특정 Streptococcus pyogenes 전파로 사구체신염이 유행하는 경우 경구 항생제 사용이 추천됨. * 농창은 경구 항생제로 치료 * 경구 항생제(7일간) : Amoxicillin/clavulanate, 1..

세균성 수막염

1. 원인균 및 항생제 감수성 - 지역사회 : Streptococcus pneumoniae가 가장 흔하고, 다음으로 Staphylococcus aureus, Klebsiella pneumoniae, Listeria monocytogenes 등 - 병원 : G(-) 막대균, S.aureus,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S. pneumoniae 등2. 경험적 항생제 - 18~50세 건강한 성인 : 뇌척수액, 혈액 배양의 결과가 확인될 때까지 Vancomycin (15-20mg/kg IV X 2)과 3세대 Cephalosporin (Ceftriaxone 2 g IV X 1~2 or Cefotaxime 2 g IV X 4~6) - Penicillin이나 3세대 Cephalo..

심혈관계 감염

1. 자연판막 감염성 심내막염(Native valve endocarditis, NVE) 1. 정의 - 혈류 내로 들어온 세균이 심장판막과 주변 조직에 염증을 일으키는 경우를 감염성 심내막염이라고 하며, 이전에 수술을 한 적이 없는 자연판막에서 감염이 일어나는 경우를 자연판막 심내막염이라고 함 2. 원인균 - Staphylococcus(S.aureus, Coagulase Negtive Staphylococci) - Streptococcus(Viridans Streptococcus, S.milleri, S.anginosus, nutritionally variant Streptococcus, Streptococcus bovis) - Enterococcus(E.faecalis, E.faecium, E.duran..

국내 유입가능 해외 감염병

1. 아프리카 진드기 열 - 원인 : Rickettsia africae - 치료 : Doxycycline 7~10일 복용 2. 알쿰라 열 - 원인 : Alkhumra virus - 치료 : 치료제 없음. 보존적 치료 3. 아나플라즈마증 - 원인 : Anaplasma phagocytophilum - 치료 : Doxycycline 7~14일 사용(해열 후 3일 이상). 소아에게도 사용 4. 아르헨티나 출혈열 - 원인 : Junin virus - 치료 : 발병 9일 이내에 충분한 양의 중화 항체를 포함한 convalescent human plasma 투여. 치료가 늦게 시작되었을 경우 Ribavirin 투여 5. 바마숲 바이러스 감염병 - 원인 : Barmah Forest Virus - 치료 : 치료 약제 없..

성인 복강 내 감염

* 발생 원인에 따른 분류 - 일차성 복강 내 감염은 세균의 자발적인 복강 내 침범에 의한 원인 미상의 감염이며 주로 유아나 소아 혹은 간경변 및 복막 투석 환자, 면역저하자에서 단일 미생물에 의해 발생 - 이차성 복강 내 감염은 위장관 천공, 장내 괴사 등으로 점차 복강 내 광범위하게 침투하는 감염의 과정을 포함하며, 다균성 감염이 흔함. 지역사회 획득 감염과 의료 관련 감염으로 분류 - 삼차성 복강 내 감염은 주로 이차성 복강 내 감염이 지속되거나 재발한 경우로 주로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발생. 일반적으로 이차성 복막염 치료를 위한 수술 후 발생하는 경우가 흔함 *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복잡성, 비복잡성으로 분류 - 복잡성 : 감염의 범위가 위장관을 넘어 복강으로 파급되어 농양이나 복막염이 발생한 경..

소화기계 감염

1. 감염성 설사 1) 원인균 - E.coli의 빈도가 가장 높고 그다음으로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ecies, Vibrio parahaemolyticus, Clostridium perfringens, Bacillus cereus, Campylobacter jejuni, Shigella species 등의 순. 2) 발생기전에 따라 염증성과 비염증성 설사로 분류가능 - 염증성 설사 원인: enterohemorrhagic E.coli, Shiegella species, Salmonella species, C.jejuni, C.difficile - 비염증성 설사 원인: S.aureus, B.cereus, enterotoxigenic E.coli, V.cholerae,..

성매개감염(STI) 지침

Multiplex PCR 검사결과에 따른 치료 및 조치 * Neiserria gonorrhoeae (임균, Gonorrhea) - Ceftriaxone 500mg IM/IV or 1g IV in a single dose - 대체 : Spectinomycin 2g IM in a single dose OR Gentamicin 240 mg IM in a single dose + azithromycin 2g PO in a single dose * Chlamydia trachomatis (클라미디아, Chlamydia) - Doxycycline 100 mg PO 2x/day for 7 days - Minocycline 100 mg PO 2x/day for 7 days - 임산부 : Azithromycin 1g P..

요로감염 항생제

1. 무증상 세균뇨 - 원인균 : 지역사회 - Escherichia coli 가장 흔하고 그 외에 Klebsiella pneumoniae 등 1. 임신부에서 무증상 세균뇨는 선별하여 치료 2. 비임신 여성에서 무증상 세균뇨는 선별과 치료를 권하지 않음 3. 양로원 거주 여성에서 무증상 세균뇨는 선별과 치료를 권하지 않음 4. 당뇨병 여성에서 무증상 세균뇨는 선별과 치료를 권하지 않음 5. 척수손상 환자에서 무증상 세균뇨는 선별과 치료를 권하지 않음 6. 유치도뇨관 있는 환자에서 무증상 세균뇨는 선별과 치료를 권하지 않음 7. 점막출혈이 예상되는 비뇨기과 시술을 받을 경우 시술 전에 무증상 세균뇨를 선별하여 치료 2. 단순 방광염 - 요로감염은 감염 부위에 따라 상부요로감염(신우신염)과 하부요로감염(방광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