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드라인/감염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고민보단행동 2023. 11. 15. 00:31
반응형

1.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Adverse event)의 정의
- (WHO) 예방접종 후에 발생한 모든 의도하지 않은 증상을 말하며, 반드시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요구하지 않음
-(감염병예방법) 예방접종 후 그 접종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증상 또는 질병으로서 해당 예방접종과 시간적 관련성이 있는 것을 말함

2.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의 분류
* 원인에 따른 분류
  - 백신 구성물질 관련 반응
  - 백신 결함에 의한 반응
  - 예방접종 오류에 의한 반응(백신 준비오류, 접종 대상자 선별 오류, 백신 접종과정 오류)
  - 예방접종 관련 불안반응
  - 우연한 반응
* 발생부위 및 중증도에 따른 분류
  - 발생부위(국소 이상반응, 전신 이상반응)
  - 중대한 이상반응
  - 중증도
* 발생규모 및 연관성에 따른 분류 : 집단발생

3.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감시의 목적
* 백신 자체의 문제 규명
* 새로운 이상반응 양상에 대한 인지
* 접종 기준 수립을 위한 정보 제공
* 대국민 불안 방지

4.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 매우 흔하게(>1/10)
  - 주사부위 : 압통, 통증, 온감, 소양증, 멍
  - 오심, 피로, 권태, 오한, 두통, 발열, 근육통, 관절통
* 흔하게(1/100 <, <1/10)
  - 주사부위 : 종창, 홍반
  - 구토, 설사, 사지통증, 발열, 오한 관절통

5. 코로나 19 백신별 주요 이상반응
1) 아스트라제네카
  - 주사부위 압통, 주사부위 통증, 두통, 피로, 근육통, 권태, 발열, 열감, 오한, 관절통, 오심
  - 이상반응의 대부분은 중증도가 경도~중등도. 대체로 접종 후 수일 이내 소실
  - 1차 접종 대비 2차 접종 시 이상반응이 더 경미하고 낮은 빈도로 보고
2) 얀센
  - 주사부위통증, 두통, 피로, 근육통, 오심, 발열
  - 이상반응의 대부분은 경증~중등증으로, 백신 접종 후 1~2일 이내 발생하여 1~2일 지속
3) 화이자
  - 주사부위통증, 피로, 두통, 근육통, 오한, 관절통, 발열 및 주사부위 부기
  - 이상반응은 일반적으로 경증 또는 중등도였고, 접종 후 며칠 내에 소실
4) 모더나
  - 주사부위통증, 피로, 두통, 근육통, 관절통, 오한, 오심/구토, 액와종창/압통, 발열, 주사부위 종창/경화, 주사부위 홍반/발적
  - 이상반응은 대부분 경증 또는 중등증으로, 수일 내에 소실
  - 이상반응 빈도 및 중증도는 1회 접종 시보다 2회 접종 시 더 증가
5) 노바백스
  - 주사부위 압통, 주사부위 통증, 피로, 근육통, 두통, 권태, 관절통, 오심 또는 구토
  - 이상반응은 대부분 경증 또는 중등증으로, 국소반응은 투여 후 2일 이내, 전신반응은 1일 이내 소실
  - 이상반응 빈도는 고령자(65세 이상)에 비해 젊은 성인(16~65세)에서 높고, 1회 접종 시보다 2회 접종 시 더 증가

6. 증상별 상세
1) 접종부위 국소반응
  - 발생시간 : 접종 후 48시간 이내
  - 통증, 발적, 부어오름
2) 심한 국소반응
  - 발생시간 : 접종 후 48시간 이내
  - 주사부위를 중심으로 홍반, 통증, 부어오름이 관절부위로 퍼지거나 4일 이상 지속
3) 농양(세균성)
  - 발생시간 : 접종 후 7일 이내
  - 조직이 붕괴된 빈 부분에 고름이 뭉침. 침입한 미생물에 의해 발생
  - 접종과정 상 오류로 판단. 접종 시 완벽한 무균상태 유지 필요
4) 농양(무균성)
  - 발생시간 : 접종 후 7일 이내
  - 백신의 구성성분, 특히 면역증강제(adjuvant)의 염증반응으로 알려져 있음
  - 일반적으로 발열을 동반하지 않고, 알루미늄이 함유된 백신에서 발생하며, 근육 대신 피하조직에 주사되었을 때 발생
  - 방지를 위해서는 근육주사 시 적절한 길이의 주사바늘 사용과 정확한 주사법이 필요
5) 결절(Nodule)
  - 발생시간 : 접종 후 7일 이내
  - 접종 부위 딱딱한 질감을 가진 조직 덩어리로 홍반이나 열감을 동반하지 않음
  - 백신의 침전물이 근육 내가 아닌 피하에 남아 발생
  - 회복까지 1년 이상 걸릴 수 있으나, 대부분 2~3개월 내 회복
  - 방지를 위해서는 근육주사 시 적절한 길이의 주사바늘 사용과 정확한 주사법이 필요
6) 연조직염(봉화직염. Cellulitis)
  - 발생시간 : 접종 후 7일 이내 발생
  - 접종부위의 급성 감염성의 팽창되는 염증반응
  - 극심한 홍반, 통증, 경화와 상당한 국소발열
  - 일반적으로 접종부위의 홍반이나 경화가 2일 이내 호전되는 것에 비해 연조직염은 자연적으로 호전되지 않음
  - 백신 제조과정에서의 오염, 주사기 등의 오염, 접종 시 피부 층의 세균침입 등이 원인
7) 발열(Fever)
  - 발생시간 : 접종 후 7일 이내 발생
  - 체온이 일반적 상태보다 올라간 상태(37도 이상)
8) 무감각, 감각이상(Numbness, paresthesia)
  - 발생시간 : 불활화백신 접종 후 15일 이내, 약독화생백신 접종 후 42일 이내
  - 신경계에 남은 백신의 부유물이 압력을 가함으로써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9) 관절염, 관절통(Arthritis, Arthalgia)
  - 발생시간 : 접종 후 1~3주 사이에 발생, 1~3주 가까이 지속
  - 부어오름과 발적, 국소발열을 동반한 관절부위 염증
  - MMR 1차 접종보다 2차 접종 시 위험도는 떨어짐
10) 뇌수막염(Meningoencephalitis)
  - 발생시간 : 불활화 백신 접종 후 15일 이내, 약독화 생백신 접종 후 5~42일 사이
  - 약독화 생백신 접종 후 백신의 바이러스에 의해 뇌막이 감염되어 무균성 뇌수막염 발생할 수 있음
  - 접종 후 발생한 무균성 뇌수막염은 일반적으로 후유증 없이 회복됨
11) 경련(Convulsion)
  - 발생시간 : 불활화 백신 접종 후 72시간 이내
  - 재발위험이 증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단순 열성경련의 장기적 영향은 없음
12) 뇌병증, 뇌염(Encephalopathy, encephalitis)
  - 발생시간 : 불활화 백신 접종 후 15일 이내, 약독화 생백신 접종 후 5~42일 사이
  - 뇌병증 : 뇌 기능의 장애를 보이는 증상
  - 뇌염 : 뇌 실질에 염증이 생긴 상태, 신경세포포식 등으로 입증되는 병리학적 진단
13) 길랑-바레 증후군(GBS)
  - 발생시간 : 접종 후 1~8주 사이
  - 심건반사가 줄어들거나 없어지며, 팔이 늘어지거나 마비되는 등의 증상을 보임
  - 위장관이나 호흡기의 감염 이후 후유증으로 1~8주 간격을 두고 발생
14) 독성 쇼크 증후군(TSS)
  - 발생시간 : 접종 후 24~48시간 사이
  - 포도상구균이나 연쇄상구균이 발생시킨 독소의 영향으로 쇼크가 온 상태
  - 급성이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증상, 긴급한 의학적 처치를 필요로 함
  - 접종자가 무균을 위한 절차를 지키지 않았을 때 발생
15) 실신(Fainting)
  - 발생시간 : 접종 직전이나 직후 몇 분 이내
  - 고통스러운 자극이나 감정적 반응으로 대뇌에 혈액공급이 감소되어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는 상태
  - 증상 발현 시 반듯이 누워 대기하면 1~2분 내 호전
16)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 발생시간 : 일반적으로 접종 후 1시간 이내 발병하나, 접종 후 24시간까지도 발병가능
  - 즉각적이며,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순환기능 상실을 일으킴. 동시에 여러 기관에서 증상이 발생
  - 기관지경련 및 후두경련, 후두부종 등을 동반할 수 있음
  - 심폐의 징후와 함께 점막이나 피부의 변화(두드러기, 혈관부종 등)의 발생이 특징적임
  - 백신에 대한 아나필락시스 반응은 같은 백신의 추가접종이나 같은 성분의 백신접종의 금기사유임
17) 혈소판감소성 혈전증(TTS. Thrombosis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 발생시간 : 접종 후 4~42일
  - 원인백신 : 코로나19 백신
  - 혈소판 감소증이 동반된 혈전증으로 주로 뇌혈관, 복부정맥, 기타 정맥 및 동맥에 발생하고 출혈을 동반하기도 함
18) 심근염(Myocarditis)
  - 발생시간 : 접종 후 수일 이내
  - 원인백신 : mRNA 코로나19 백신
  - 심장 근육에 발생한 염증
  - 치료 : 신체의 면역 체계의 활동을 낮추기 위해 코르티코 스테로이드사용, 심부전 합병증이 있을 때 심장 활동 감소시키는 심부전 치료제 사용(베타 차단제 및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등), 신체의 면역 및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정맥 면역 글로불린(IVIG) 사용, 위급상황에서는 기계보조요법(EBS, ECMO: 체외 인공 심장 및 인공 폐) 치료 필요
19) 심낭염(Pericarditis)
  - 발생시간 : 접종 후 수일 이내
  - 원인 백신 : mRNA 코로나19 백신
  - 심장을 둘러싼 막에 발생한 염증
  - 치료 : 심낭염 치료를 위한 항염증제(NSAID) 사용, 인체의 면역 체계의 활동을 낮추기 위해 코르티코 스테로이드 사용(심낭염의 경우 NSAID에 반응하지 않거나 복용할 수 없는 환자에게만 사용), 인체 면역 및 염증 반응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정맥 면역 글로불린(IVIG) 사용. 심낭 삼출액 제거하기 위한 심낭천자
20) 모세혈관누출증후군(Capillary leak syndrome)
  - 발생시간 : 접종 후 수일 이내
  - 원인 백신 :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코로나19 백신
  - 모세혈관에서 체액유출이 발생해 팔, 다리 부종 및 저혈압 등을 유발하며 매우 드물고 중증인 질환
  - 빠르게 진행하는 저혈량성 쇼크와 전신의 심한 부종
  - 치료 : 임상경과에 따라 수액, 승압제, 이뇨제, 테오필린 또는 IVIG 등 사용
  - 예후 : 회복된 후에도 약 60%에서 재발
21) 혈소판감소증(Thrombocytopenia)
  - 혈소판 수치가 정상보다 낮은 상태(15만 개 미만/mcl)
  - 치료 : 혈소판감소증의 원인 치료, 혈소판에 영향 주는 약물 피하기, 경우에 따라 혈소판 수혈


rf)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관리지침 2-2판

반응형

'가이드라인 > 감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핵  (0) 2023.11.16
HIV 감염 진단과 치료  (0) 2023.11.15
C형 간염  (0) 2023.11.12
B형 간염  (0) 2023.11.11
성인 지역사회획득 폐렴  (0) 2023.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