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 10

고혈압 치료, 고혈압 약

목차8. 고혈압의 치료9. 비약물치료 및 생활요법10. 약물치료11. 상황별 고혈압 치료 ▣ 고혈압의 치료 8. 고혈압의 치료  - 고혈압 치료의 목표: 혈압을 조절하여 혈압 상승에 의한 심뇌혈관질환을 예방하고, 사망률을 낮추는 것  - 심뇌혈관질환이 이미 발생한 환자: 혈압을 조절하여 질환의 진행을 억제하고, 재발을 막음으로써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  -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이 높은 환자일수록 혈압 치료에 따른 이득이 큼  - 수축기혈압을 10~20 mmHg 정도, 이완기혈압을 5~10 mmHg 정도 낮추면, 뇌졸중은 30~40%, 허혈성 심질환은 15~20% 정도 감소  8.1. 고혈압 치료 계획  - 처음 혈압이 높게 측정되면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가급적 진료실 이외 혈..

항생제 투약변경 및 치료 종결

1. 배양 결과에 따른 항생제 조절- 좁은 항균 범위항생제의 사용은 항균범위가 넓고 강한 것을 계속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미생물 배양 검사 및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통해 원인 미생물을 정확하게 확인하고 그에 적절한 좁은 범위의 항생제로 조절해야 합니다. - 적은 부작용약제에 의한 부작용이 있는 경우, 해당 부작용이 적고 감수성이 있는 다른 항생제로 변경해 볼 수 있습니다. - 저렴한 약가 2. 적절한 투여 경로- 정주 투여와 경구 투여항생제의 투여 경로는 대표적으로 비경구 투여와 경구투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중증의 질환 및 뇌수막염, 심내막염 등의 특정 감염 부위의 경우에는 정주 치료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외에 증상이 조절되면, 환자의 위장관 흡수율에 큰 문제가 없으면 경구로 변경해 볼 수 있습니다..

기초 2024.06.22

고혈압 기준, 수치 측정, 임상평가

목차1. 고혈압의 정의와 혈압의 분류2. 고혈압의 중요성3. 고혈압의 유병률과 혈압의 분포4. 고혈압의 관리 현황5. 백의고혈압과 가면고혈압6. 혈압 측정7. 환자의 평가 ▣ 고혈압의 역학 1. 고혈압의 정의와 혈압의 분류 - 정상혈압: 수축기혈압 120 mmHg 미만 and 이완기혈압 80 mmHg 미만 - 주의혈압: 수축기혈압이 120~129 mmHg and 이완기혈압이 80 mmHg 미만 - 고혈압전단계: 수축기혈압이 130~139 mmHg or 이완기혈압이 80~89 mmHg - 고혈압: 수축기혈압 140 mmHg 이상 or 이완기혈압 90 mmHg 이상 - 수축기단독고혈압: 수축기혈압만 140 mmHg 이상으로 상승 and 이완기혈압 90 mmHg 미만  2. 고혈압의 중요성 - 고혈압은 심뇌혈..

[보도자료/24.06.19] 저출생 추세를 반전시키기 위한 3대 핵심분야 총력 지원 + 사회인식 변화 노력 강화

1. 인구 국가비상사태 선언 - 금년 1분기 합계출산율: 0.76명(1분기 기준 역대 최저 수준)으로 심각 - 정부는 ‘인구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하고 총력적인 비상대응 체제를 가동 - 가칭 저출생대응기획부와 저출생수석실을 신설하고, 부처 신설과 연계하여 특별회계 및 예산 사전심의제 도입 검토. - 지방교부세 교부기준을 저출생 대응관점이 보다 더 반영되도록 보완하고, 지방소멸대응기금의 사업범위 조정 등을 통해 지자체 차원에서의 저출생 대응도 강화 [(현행) 기반시설 조성 및 기반시설을 활용한 프로그램 사업 → (개선) 기반시설 활용여부와 관계없이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프로그램 사업이 가능하도록 개선] 2. 핵심분야 중점 지원(일-가정양립, 양육, 주거) 1) 육아시간 확보 ① 휴가‧휴직 유연 사용 - 단기..

[보도자료/24.06.17] 장기요양기관 건전성 제고 위한 기획 현지조사 실시

▣ 장기요양기관 기획 현지조사 예고 1) 대상: ‘10년 이상 장기간 현지조사 미실시 장기요양기관’을 중심으로 할 예정 2) 내용: 장기요양급여 제공 및 청구의 적정성 확인을 중심으로, 급여제공자료 기록‧관리 의무, 본인부담금 면제‧감경 여부 등 관계법령 준수여부에 대한 점검을 진행 3) 시기: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간 실시 예고 4) 목적: 장기요양기관 현장의 제도 운영 실태분석 등을 통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의 개선 및 건전성 확보를 도모* 보건복지부(https://www.mohw.go.kr), 노인장기요양보험(https://www.longtermcare.or.kr) 누리집 등에 사전예고 내용 게재 1. 장기요양기관 현지조사 개요 1) 현지조사란?  - 장기요양기관 운영 적정성 등 장기요양사업 전..

항생제 사용 중 고려사항

항생제를 사용하는 중 고려할 사항으로는 약물의 상호작용, 항생제 부작용, 항생제 복용 순응도가 있습니다. 약물의 흡수 관련 상호작용- fluoroquinolone은 제산제, sucralfate, ferrous sulfate 등과 동시 복용 시 킬레이트가 형성되어 흡수가 저하되므로 항생제의 농도가 떨어집니다. tetracycline은 didanosine, bismuth subsalicylate 등과 동시 복용 시 킬레이트가 형성되어 항생제의 농도가 떨어집니다. Clindamycin은 kaolin-pectin과 상호작용하여 흡수가 저하됩니다. 약물의 대사 관련 상호작용- erythromycin, clarithromycin은 항생제 중에서 대표적인 CYP450 inhibitor 제제이므로 CYP450으로 대사..

기초 2024.06.18

[보도자료/24.06.06] 2023년 아동종합실태조사 결과 발표

▣ 아동종합실태조사 실시 현황- ‘2023 아동종합실태조사’ 결과 발표: 우리나라 아동의 삶과 성장환경 및 정책환경에 대해 종합적으로 조사- 실태조사 방법: 18세 미만의 아동을 양육하는 아동가구 5,753 가구(빈곤가구 1,000 가구 포함) 대상 방문 면접조사 방식으로 2023년 9월부터 12월까지 실시.- 0~8세 아동은 주양육자가 대리 응답, 9-17세 아동은 아동이 직접 응답(가구 현황에 대해서는 주양육자가 응답).* 아동종합실태조사: 아동복지법 제11조에 근거. 2013년 1차 조사 이후 매 5년마다 실시하여 2013년, 2018년, 2023년 총 3차례 실시하였고, 2023년 이후 조사부터는 2021년 아동복지법 개정으로 3년마다 실시▣ 아동종합실태조사 주요 결과① 아동 및 아동가구의 일반적..

항생제 사용 전 고려사항 - 항생제 선택

감염병을 진단하는데 고려해야 하는 3요소에는 해부학적 진단(감염부위, 감염원인 파악), 미생물학적 진단(원인균 예측), 숙주 인자(연령, 성별, 기저 질환, 지역사회 or병원 관련)가 있고, 항생제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하는 3요소에는 항생제 요인(종류, 특성, 기전, 약물동력학), 미생물(항생제 감수성 양상), 인체 요인(기저 질환, 감염 부위)이 있습니다. 항생제 선택 과정항생제 선택의 과정을 살펴보면, 가능성이 높은 원인균을 예측하고, 항생제 감수성 양상을 예상한 후 항생제의 약동/약력학적 특징 및 살균/정균효과를 나타내는 작용기전을 고려하여 선택합니다. 원인균과 감수성 파악을 위하여 적절한 미생물 검체를 획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획득한 검체의 배양검사를 통해 원인균을 파악할 수 있고, 그를 통해..

기초 2024.06.12

항생제 사용 전 고려사항 - 항생제를 사용해야 할 상황인가?

발열은 감염성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 중요한 증상과 증후 중의 하나입니다. 열이 나면 이와 관련된 감별진단을 시행하게 되는데, 발열이 감염성인지 비감염성인지 판별해야 합니다.  비감염성 발열의 원인비감염성 발열의 원인으로 종양(lymphoma, leukemia, hapatoma, RCC 등)은 종양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유지해야 발열이 조절됩니다. 교원성 질환(SLE, adult Still's diseases, temporal arteritis, polymyalgia rheumatica 등)은 자가면역질환 때문에 발열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염증성 반응이기 때문에 적절한 면역조절약제(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등)를 투여하여야 발열이 조절됩니다. factitious fever, drug fever, centra..

기초 2024.06.11

[보도자료/24.06.07] 백일해 예방접종

1. 백일해 발생 현황 - 올해 백일해 환자가 최근 유행한 ‘18년 연간 환자수(980명)를 넘어,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 연령대별로는 13-19세가 49.6%(677명), 7~12세가 37.5%(512명)로 7-19세 소아청소년이 전체의 87.1%(1,189명)를 차지하였습니다. - 지역별로는 교육시설에서 집단 발생이 보고되고 있는 경남(543명, 39.8%), 경기(239명, 17.4%) 부산(109명, 8.0%), 경북(90명, 6.6%)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습니다. * 올해는 백일해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상황입니다. - 미국: 5월 25일 기준 4,864명이 발생하여 전년도 동 기간(1,746명) 대비 약 2.8배가 증가 - 필리핀: 4월 27일 기준 2,521명이 발생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