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드라인/감염

ASP 통합 운영 가이드라인

고민보단행동 2023. 11. 21. 22:09
반응형

* 약어
AMR : Antimicrobial resistance 항생제 내성
AOF : Antimicrobial Order Forms 항생제 처방 서식
ASP : Antimicrobial stewardship program 항생제 사용관리(스튜어드십) 프로그램
CDC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AUTI :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카테터 관련 요로감염
CLABSI :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s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DDD : Daily defined dose 의약품 소비량 측정 표준단위, 성인이 하루동안 복용해야 하는 평균 용량
DOT : Days of therapy 항생제 사용 일수
FTE : Full time equivalent 전일제 등가(고용된 사람의 작업시간을 나타내는 단위)
GRADE : Grading of Recommendation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권고사항 등급평가, 개발 및 평가
ICCON : Infection Control Consulting Network 중소병원감염관리 자문시스템
IDSA : Infectious Disease Society of America 미국감염학회
IPC :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감염 예방 관리 활동
ISQua :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Quality in Health Care 국제의료질관리학회
JCI :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국제의료기관평가위원회
KARMS : Korean Antimicrobial Resistance Monitoring System 국가 항생제 내성균 감시 네트워크 시스템
KONAS : Korea NationalAntimicrobial Use Analysis System 의료기관 항생제 사용량 분석 및 환류시스템
Kor-GLASS : Korea-Global Antimicrobial Resistance Surveillance System 국제기준에 맞는 항생제 내성균 감시체계
KSAT : Korean Society for Antimicrobial Therapy 대한항균요법학회
MALDI-TOF : Matrix-ass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미생물 동정 질량분석시스템
MDRO :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다제내성균
NHSN : National Healthcare Safety Network 국가 의료기관 안전 네트워크
MSQHS : National Safety and Quality Health Service 국가보건의료안전 및 질 향상(호주)
OECD :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경제협력개발기구
PK : Pharmacokinetics 약물동태학
QALYs : Quality-Adjusted Life Years 질 보정 생활년수
SAAR : Standardized Antimicrobial Administration Ratio 표준화된 항생제 투여 비율
SSTI :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피부연조직 감염
TDM : Therapeutic drug monitoring 치료적 약물농도 모니터링
TJC : The joint Commission 미국 의료기관 인증기구
WHO : World Health Organization 세계보건기구

* 병원체 약어
CRAB :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카바페넴 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
CRE :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카바페넴 내성 장내 세균 속균종
MRAB :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
MRPA : Multidrug-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다제내성 녹농균
MRSA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VISA : Vancomycin Intermediate Staphylococcus aureus 중등도 내성 반코마이신 황생포도알균
VRSA :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
VRE :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 ASP는 항생제 내성을 줄이거나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방법
* 일반적으로 ASP는 투약, 치료 기간 및 투여 경로를 포함한 최적의 항생제 사용을 증진함으로써 적정한 항생제 사용을 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정의됨
* ASP를 시행하면 환자의 치료 결과 개선, Clostridioides difficile 감염(CDI)의 감소, 약물 이상반응의 감소, 의료비용의 감소, 항생제 내성 감소 등의 효과

항생제 사용관리 프로그램(ASP) 적용 지침 요약


Q1. 항생제 사용관리 프로그램(ASP)의 적용을 위한 방법으로 어떤 것들이 활용되고 있는가?
1-1) ASP 핵심전략은 항생제 제한과 사전 승인(restriction and preauthorization) 혹은 전향적 감사와 피드백(prospective audit with feedback)을 선별적으로 혼합하여 시행 가능
1-2) 교육을 통한 항생제 관리는 전향적 감사와 피드백의 능동적 중재와 함께 시행해야 함
1-3) 의료기관 특성에 맞춘 질환별 임상 진료 지침이나 임상 경로(clinical pathways)를 개발하여 증후군 기반 항생제 관리에 활용해야 함
1-4) 항생제 관리를 위해 가능하면 전산화된 항생제 처방 시스템을 통한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권장됨
1-5) 항생제관리팀과 미생물 검사실 사이의 협력적인 관계를 육성하여, 의료기관 고유의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주기적으로 공유하고 감염 질환의 조기 진단 및 검사 결과의 체계적인 보고 시스템을 수립해야 함

* 항생제 사용관리 프로그램(ASP) 적용을 위한 중요 전략
1) 핵심 전략
  - 항생제 제한과 사전 승인(Restriction and preauthorization)
  - 전향적 감사와 피드백(prospective audit with feedback)

2) 부가 전략
  - 악수 스튜어드십(Handshake stewardship) : ASP팀이 처방된 모든 항생제를 검토하며, 회진을 통해 직접적이고 개별적인 피드백을 즉시 제공하는 방식
  - 교육(Education)
  - 임상 진료 지침이나 임상 경로(Practical guidelines and clinical pathways)
  - 감염증후군에 대한 항생제 투약 기간 최적화(Duration optimization for infectious syndromes)
  - 특정 감염증후군을 가진 환자에 대한 표적 검토(Targeted review of patients with specific infectious syndromes)
  - 주사항생제를 경구항생제로 전환(Conversion from parental to oral therapy)
  - 최적화된 용량의 항생제를 투약 및 항생제의 치료적 약물농도 모니터링(Dosage optimization and therapeutic drug monitoring)
  - 항생제 병용요법(Combination therapy)
  - 항생제 간소화 혹은 항생제 단계적 축소치료(Streamlining or de-escalation of therapy)
  - 전산화된 항생제 처방 시스템 내에서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s/computerized physician order entry)
  - 항생제 내성과 항생제 사용에 대한 모니터링(Monitoring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drug usage)
  - 특정 항생제 감수성을 선택적으로 보고(Selective antibiotic susceptibility reporting)
  - 미생물학적인 경고와 신속진단검사(Microbiological alerts and rapid diagnostic testing)

Q2. 효과적인 항생제 사용관리 프로그램(ASP) 시행을 위한 핵심요소는 무엇인가?
2-1) ASP의 실행을 위한 핵심요소는 리더십의 책무(Leadership Commitment), 책임자 임명(Accountability), 항생제 관리 전담약사 임명(Pharmacy expertise), 중재의 실행(Action), 추적 조사(Tracking), 보고(Reporting), 교육(Education)이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핵심요소를 개발할 필요가 있음. (항생제 관리 전담약사-감염 전문약사 또는 기관 내 항생제를 책임지고 관리하는 약사)
2-2) ASP 실행을 위한 핵심요소는 의료기관의 규모와 기능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필요가 있음

Q3. 항생제 사용관리 프로그램(ASP)의 수행 조직은 어떻게 구성하고 운영하는 것이 권장되나?
3-1) ASP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의사, 약사, 간호사, 미생물 학자 및 감염 관리 전문가, 정보기술 전문가들이 협업해야 함
3-2) 임상 경험, 리더십 경험, 폭넓은 다학제 관계 및 수련 과정을 기반으로 감염내과와 소아청소년 감염분과 전문의는 다학제 ASP 팀을 이끌기에 적합
3-3) 약사는 ASP 팀의 핵심 구성원이며 ASP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
3-4) 환자치료의 업무 흐름과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간호사는 ASP 팀에 참여할 필요가 있음

Q4. 항생제 사용관리 프로그램(ASP)의 적용은 항생제 사용량 및 비용의 감소를 가져오는가?
4-1) ASP는 항생제 사용량과 항생제 사용에 따른 비용 감소를 가져옴
4-2) 항생제 처방 중재 활동인 전향적 감사와 피드백 활동 혹은 특정 항생제 처방 제한 프로그램의 도입은 항생제 사용량과 항생제 사용에 따른 비용 감소를 가져옴
4-3) 처방자 스스로가 적정한 항생제 처방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중재 활동(체크리스트 사용, antibiotic time-out, 항생제 전용 처방 시스템 도입 등)의 도입은 항생제 사용량과 항생제 사용에 따른 비용 감소를 가져옴

Q5. 항생제 사용관리 프로그램(ASP)의 적용은 환자의 임상적 예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5-1) ASP는 환자의 임상적 예후를 호전시킴
5-2) ASP는 환자의 임상적 예후를 악화시키지 않으면서 항생제의 사용량과 비용을 감소시킴
5-3) 환자의 임상적 예후를 호전시키기 위해 항생제 사용에 대한 전향적 감사와 피드백 활동 등의 ASP 도입이 필요
5-4) 환자의 임상적 예후를 호전시키기 위해 치료적 약물농도 모니터링 및 주사제의 경구 변환 등 다양한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

Q6. 항생제 사용관리 프로그램(ASP)의 적용은 항생제 사용의 이상반응(독성, 알레르기)을 감소시키는가?
6-1) ASP는 치료적 약물 농도 모니터링을 통해 항생제 사용으로 인한 이상반응을 감소시킴
6-2) ASP는 항생제 사용으로 인한 알레르기를 감소시킬 수 있음

Q7. 항생제 사용관리 프로그램(ASP)의 적용은 C. difficile 감염(장염)을 감소시키는가?
7-1) C. difficile 감염(장염)을 감소시키기 위해 ASP의 적용이 필요

Q8. 항생제 사용관리 프로그램(ASP)의 적용은 항생제 내성을 감소시키는가?
8-1) ASP는 항생제 내성을 감소시킴
8-2) 항생제 내성의 감소를 위해 항생제 처방 제한과 함께 전향적 감사와 피드백 활동의 도입이 필요
8-3) 항생제 내성의 감소를 위해 ASP와 감염관리 활동을 함께 시행하는 것이 필요
8-4) ASP의 항생제 내성 감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

Q9. 작은 규모의 지역사회 의료기관 및 장기요양병원에 적용할 수 있는 항생제 사용관리 프로그램(ASP)의 방법(전략,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9-1) 작은 규모의 지역사회 병원도 ASP가 효과적이므로 도입해야 함
9-2) 장기요양병원에서 ASP 활동 권장
9-3) 장기요양병원에서 항생제의 사용은 매우 흔하며, 우선적으로 수행할 중요한 ASP 주제로 무증상 세균뇨의 치료 감소를 통해 C. difficile 감염을 줄이는 것을 제안함
9-4) 작은 규모의 지역사회 병원 및 장기요양병원에서는 ASP를 활성화하기 위해 제도의 변화 및 전문가 훈련 지원 등이 필요





rf) 2023 항생제 사용관리 프로그램 통합 운영 가이드라인

반응형

'가이드라인 > 감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칸디다증(Candidiasis)  (2) 2023.11.24
병원획득 폐렴  (0) 2023.11.22
ASP의 국내 실행을 위한 핵심요소  (0) 2023.11.21
결핵  (0) 2023.11.16
HIV 감염 진단과 치료  (0) 2023.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