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브이월드 3단계 고도화 서비스 시작
- 시작 날짜: 1월 16일부터
- 서비스: 맞춤형 지도 제작, 3D 분석 및 시뮬레이션 기능 확대 등을 통해 공간정보를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 브이월드 (http://www.vworld.kr) : 국가가 보유한 공간정보를 제공하여, 공공 민간 · 정보 등이 공간 기반의 활용앱 등을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
- 국토교통부는 ‘23년부터 브이월드 고도화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1단계(23년) , 2단계(24년)를 거쳐 이번에 3단계 고도화 사업을 마치고 서비스를 개시함
2. 브이월드 3단계 고도화 사업 주요 내용
- 단순히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일반 사용자도 손쉽게 공간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과 활용성을 대폭 강화
1) 맞춤형 지도
- 사용자가 자신만의 특색 있는 지도를 만들 수 있도록 나만의 지도 서비스를 신설
- 사용자는 맛집, 관광명소, 여행경로 등 원하는 정보를 브이월드 지도에 가시화하여 사용자 맞춤형 지도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음
2) 3D 분석·시뮬레이션
- 일조권 분석, 드론 모의주행 등 실생활에 유용한 3D분석(5종)·시뮬레이션(1종) 기능을 새롭게 추가
- 3D 분석(5종): 건물의 높이와 위치가 일조권에 미치는 영향을 시각적으로 검토(일조권 사선제한)하고, 문화재 인근의 건축물을 신축, 개조할 때 문화재와의 조화로운 경관 유지를 사전 검토(문화재 현상변경)할 수 있도록 함
- 3D시뮬레이션(1종): 드론·차량 모의주행 시뮬레이션
- 새롭게 추가된 기능으로 사용자는 관심 있는 동네의 주거환경을 미리 파악해 볼 수 있고, 모의 주행을 통해 드론 비행환경도 사전에 점검해 볼 수 있음
- 3D분석·시뮬레이션 기능을 오픈 API 형태로 제공하여 창업 기업이나 개인 사업자가 공간정보를 활용한 서비스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함 {오픈 API: 인터넷 서비스나 앱(app)에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해 놓은 인터페이스(예 : 구글지도 API, 날씨정보 API 등)}
- 3D파일 형식 지원 확대: 다양한 3D건물 파일형식*을 지원하여 별도의 파일변환 없이 3D건물을 편집하고 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함. * (기존) glb, gltf 2종 파일형식 지원, (신규) collada, obj, dae, 3ds 4종 파일형식 추가
- 3D건물을 확대, 축소, 회전할 수 있는 편집기능도 추가하여 3D분석·시뮬레이션을 도시설계, 건축기획 등의 기본설계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
3. 브이월드(V-World) 개요
1) 개요
- 국가 등이 보유한 공간정보 중 공개가능한 정보를 연계, 제공하여 공공, 민간의 공간정보 서비스 창출을 지원하기 위한 오픈플랫폼
2) 추진 경위
- 3D공간정보 DB 활용 시스템 구축 예비타당성 조사(10년)
- 3D지도(서초, 강남), 플랫폼 시범 구축(11년)
- 3D지도(서울, 6대 광역시) 구축 및 브이월드 서비스 개시(12년)
- 3D구축지역 및 OpenAPI(데이터) 확대 제공(13~14년)
- 오픈 API 2.0 고도화 및 가상화 인프라, 오픈소스 전환(17~18년)
- 디지털 트윈국토 활성화를 위한 브이월드 3.0 추진계획 수립(23년 6월)
- 디지털 트윈국토 브이월드 1단계 고도화 서비스 개시(23년 8월)
- 디지털 트윈국토 브이월드 2단계 고도화 서비스 개시(24년 7월)
- 디지털 트윈국토 브이월드 3단계 고도화 서비스 개시(25년 1월)
3) 탑재 DB 및 서비스 기능
- 탑재 DB: 기반공간정보(6건)와 행정공간정보(896건) 등 총 902종의 다양한 국가공간정보를 웹 서비스로 제공
- 서비스 기능: 2D, 3D지도 조회, 분석 서비스, 다운로드, 오픈 API 및 데스크톱 서비스, 기업정보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
4) 활용 현황
- 회원 가입자수: 누적 회원수 약 19.9만 명(12~24년)
- 인증키 발급건수: OpenAPI 인증키 발급 약 7만 2천 건(12~24년)
4. 브이월드 단계별 고도화 성과
5. 브이월드 3단계 고도화 서비스 상세 소개
1) 사용자 맞춤지도 서비스 도입
* 브이월드에서 제공 중인 공간정보와 사용자의 데이터를 융복합활용하여 맞춤형 지도를 제작 및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 신설
- 사용자가 보유한 데이터를 지도에 가시화하고, 공간정보 유형별(점, 선, 면) 마커, 색상, 폰트 등 스타일 생성, 수정 기능 제공
- 사용자가 생성한 맞춤형 지도를 서비스로 발행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기능 제공
2) 3D분석·시뮬레이션 기능 확대
* 현실세계를 기반으로 구축한 디지털 트윈 가상세계에 핵심 기능인 3D분석, 시뮬레이션 기능과 API를 확대 구축
- 고도화 1,2차 적용 성과에서 구축한 5개 분야(경관, 지형, 건물, 기상, 지역) 16종의 기능을 5개 분야 22종으로 확대
3) 건물 3D 파일형식 지원 및 편집기능 고도화
* 분석, 시뮬레이션 기능과 연계하여 효율적인 건축 설계와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파일 형식 지원 및 편집기능 고도화
- 기존 2종의 파일 형식 지원이 6종으로 확대되었으며, 건물 모델 라이브러리와 사용자 등록 모델의 편집 기능이 강화
출처-국토교통부,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90602
'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도자료/25.01.20] 도시형 생활주택 면적 제한 완화를 위한 「주택법 시행령」 등 개정안 21일 시행 (6) | 2025.01.21 |
---|---|
[보도자료/25.01.03] K-패스 다자녀 가구 유형 신설 (2) | 2025.01.15 |
[보도자료/24.08.11] 주택청약저축 보유 혜택 대폭 강화 (0) | 2024.08.26 |
[보도자료/24.08.08] 서울수도권 42.7만호 공급 (0) | 2024.08.13 |
[보도자료/24.06.19] 저출생 추세를 반전시키기 위한 3대 핵심분야 총력 지원 + 사회인식 변화 노력 강화 (0) | 2024.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