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질병관리청

[보도자료/24.12.31] 감염병 빅데이터 민간 개방 확대

고민보단행동 2025. 1. 19. 14:59
반응형

감염병 빅데이터

1. 감염병 빅데이터 개방

 - 감염병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하여 데이터 개방 대상을 민간까지 확대하고 민간 연구진들이 신청한 데이터를 제공

 - 지난 24년 6월 개통한 감염병 빅데이터 플랫폼은 질병관리청과 지자체를 대상으로 통계 자동산출이나 맞춤형 분석 등을 통해 방역업무를 지원하고 있음

 

2. 전수감시 감염병 추가 공개

 - ’ 22년부터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협력(K-COV-N)을 통해 제공하고 있는 코로나19에 더해 자체적 데이터 개방 체계를 구축하여 방역통합정보시스템으로 수집된 주요 데이터 중 전수감시 감염병 64종*을 추가 공개

 - 전수감시 감염병 64종: 결핵,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을 제외하고 제1급(17종), 제2급(20종), 제3급(27종)

 

3. 데이터 제공 계획

 - 연구진이 감염병 누리집(dportal.kdca.go.kr> 알림·자료> 공지사항)에서 신청한 서류(연구계획서, 자료이용신청서 등)를 심의하여 가명처리 후 제공할 계획

인포그래픽, QR코드

 

4. 대시보드 구축 및 OpenAPI

 - 24년 12월 12일부터 표 형태로만 제공되어 한눈에 알아보기 어려웠던 기존 감염병 통계를 대시보드로 구축하여 막대나 선그래프 등 시각화된 형태로 조회할 수 있도록 함

  - 공공데이터 포털(data.go.kr)에서 OpenAPI*를 제공하는 등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음

  - OpenAPI: 서비스나 데이터를 개방하여 개발자라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인터페이스

 

5. 데이터 개방 현황

 - 24년 ‘의약품 수급 위험 예측모델 개발(식품의약품안전처)’, ‘K-CURE(국립암센터)’, ‘코로나19 환자치료 격차 분석(강원도 감염병관리지원단)’ 등 세 건을 이용하여 감염병 빅데이터플랫폼 데이터의 개방을 시작함

데이터 개방 현황

 

6. 감염병 빅데이터 플랫폼 개요

 1) 추진 배경

  - 코로나19에 대응하며 통계산출 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외부 개방도 어려워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분석 플랫폼 구축 필요

  - 통계는 자동으로 산출하고 가명정보기반 정책연구분석 활성화

  - 가명정보: 개인정보 일부를 삭제나 대체하는 등 추가 정보 없이 특정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처리

 2) 주요 추진 내용

  - (정형보고서): 감염병 감시 연보 등 반복적·주기적 산출이 필요한 전수감시 감염병 주요 통계에 대한 자동 산출 및 검색 기능

  - (맞춤형 분석): 역학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사용자 맞춤형 분석 지원, 시각화 솔루션(BI, Business Intelligence)을 도입하여 통계정보 활용

  - (외부개방): 데이터심의위원회를 통해 가명처리 적정성 등 검토하여 승인된 연구 대상 데이터를 개방하여 민간 연구분석 활성화 도모

 3) 기대효과

  - 데이터 개방을 통해 다양한 분야와 연계한 연구성과 도출, 연구결과를 활용한 정책근거 마련으로 국민에 도움이 되는 정책 수립

개방 대상 데이터 범위

 

7. 감염병 누리집(dportal.kdca.go.kr) 내 통계 대시보드 화면

대시보드 화면

 

8. 방역통합정보시스템

 1) 방역통합정보시스템(eid.kdca.go.kr)이란?

  - 발생신고·보고, 역학조사 등 감염병환자를 관리하는 업무용 시스템

 2) 제공하는 통계 정보

  - 감염병별 발생현황, 역학조사 분석 등 업무에 필요한 다양한 통계를 제공

 3) 통계정보 확인 방법

  - 방역통합정보시스템에 접속 후 > 감염병관리 > 통계분석 메뉴에서 확인 가능

 4) 통계정보 조회에 필요한 권한 신청

  - 소속기관별 ‘기본 user’(질병관리청, 시도, 보건소, 보건환경연구원 등) 권한만 승인받으면 모두 사용 가능

 5) 새로워진 방역통합정보시스템 통계

  - 기존통계 → EDW 통계

EDW 통계

6) 감염병통계 자동 집계

 - 수집된 감염병 발생정보와 역학조사 정보를 기반으로 감염병통계를 자동으로 집계

감염병통계 자동 집계

7) 수집 데이터 정제· 가공

수집 데이터 정제· 가공

 8) 시각화 차트

  - 데이터별 최적의 시각화 차트로 직관적 데이터분석 환경을 제공

시각화 차트

 9) 다차원 필터 제공

  - 업무 담당자별 데이터 활용성 제고

다차원 필터

 10) 다양한 부가기능 제공

  - 정보 활용성 제고

부가기능

 11) 시스템 접속 방법

  - 방역통합정보시스템(eid.kdca.go.kr) 접속 → 방역통합(감염병관리) > 통계분석 메뉴 접속 → 감염병 통계 메뉴 활용

시스템 접속 방법

 

 

출처-질병관리청,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list_no=726810&cg_code=&act=view&nPage=2&newsFiel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