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장기 계획 수립 사유
- 국가예방접종 백신 비축 상황을 돌아보고 비축 확대와 비축 운영방식 개선에 대한 장기적인 방안을 마련
- 그 간 예방접종 사업에 안정적인 백신 공급과 백신 생산 중단 등 수급 비상시를 대비하여 국가예방접종 백신을 비축하고 있으나, 낮은 비축률(30% 미만), 적은 비축 품목(4 품목), 비축 우선순위 부재 등으로 국내 백신 부족 시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실정이었음.
- 비축품목: 국가예방접종백신 24개 품목 중 4개 품목 - 피내용 BCG(결핵),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PPSV(폐렴구균), Tdap(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2. 중장기 추진 계획 목표(’ 24~’ 28)
1) 현(現) 비축품목(4 품목) 5년 내 비축률 100% 달성
- 신속하고 안정적인 수급 불안 대응을 위해 현재 비축 중인 4개 백신의 비축을 5년 내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백신별 연간 비축계획을 제시
2) 비축 우선순위 구체화 및 비축 품목 단계적 확대
- 질병 특성 및 백신 수급 특성 등을 고려해 백신별 비축 우선순위를 평가하였고 결정된 비축 순위를 기준으로 비축 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
3) 국·내외 수급 상황을 고려한 유연한 비축체계 운영
- 백신 수급 특성 변화(인구수 변화 등)와 예방접종 모니터링을 통해 비축 목표량을 주기적으로 조정하여 과소 또는 과대 비축하지 않고 적정량을 비축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
- 접종 인구수 변화 등에 따라 MMR(193,500→161,000 도즈), PPSV(138,000→185,000 도즈) 비축목표량 조정(‘23년)
4) 안정적인 재고 순환 관리를 위한 운영체계 개선
- 제조·수입사(또는 백신 총판)를 통한 비축을 추진하여 긴급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백신 공급이 가능하도록 운영체계를 개선
3. 국가예방접종 백신 비축 현황(’ 24.11월 기준)
1) 비축 백신
- 피내용 BCG, MMR, PPSV, Tdap 4 품목 백신
2) 비축 물량
- 비축 목표량 대비 27.6% 비축
3) 운영 방법:
- 3개월분 비축을 목표로 순환재고 방식으로 운영
- 순환재고 방식: 유효기간 도래 예정인 비축 백신을 접종 기관에 우선 공급하고, 이후 새로 생산된 백신을 기존 사용 물량만큼 채워 비축
4. 중장기 계획 이행 전후 비교
'보도자료 > 질병관리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도자료/25.01.07] 2025 달라지는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2) | 2025.01.20 |
---|---|
[보도자료/24.12.31] 감염병 빅데이터 민간 개방 확대 (4) | 2025.01.19 |
[보도자료/24.06.07] 백일해 예방접종 (0) | 2024.06.08 |
[보도자료/24.05.27]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CRE) 감염증 항생제 사용 지침 (0) | 2024.05.29 |
[보도자료/23.12.27]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 백신 (2) | 2024.01.14 |